SSH는 원격지의 서버를 관리하기 위한 기술이다.
쉽게 말해 미국에서도 한국에 설치된 리눅스 서버를 통제할 수 있다는 얘기다.
SSH는 Secure Shell의 약자로 기존 telnet에 비해 보안성이 추가되어 많이 쓰인다.
서버 설정법
설치확인 : rpm -qa openssh-server
실행확인 : service sshd status
실행 : service sshd start
포트개방 : system-config-firewall에서 신뢰하는 서비스에 SSH를 추가
윈도우에서 접속법 : PUTTY(클라이언트)
클라이언트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, 보통 PUTTY를 많이 쓰는 것 같다.
Host Name(or IP address)칸에 IP를 쓰면 되고, Port칸에는 22를 쓰면 된다.
리눅스에서 접속법 : 터미널
ssh 사용자명@서버IP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Mware에서 Ubuntu 설치시 커널 패닉 (0) | 2016.12.07 |
---|---|
파일 및 내용 검색 명령어(find, grep) (0) | 2016.11.27 |
[GitBook] Bash Shell Script 가이드 (0) | 2016.08.09 |
웹 서버 설치 (0) | 2016.06.09 |
VMware 네트워크 연결 방법 (0) | 2016.06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