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it 커맨드 라인에서 사용 방법(4) - 원격 저장소 형상관리/Git2016. 12. 14. 06:02
git은 형상관리가 목적이고, github는 협업 기능이 추가된 것
리모트 repository와 로컬 repository가 따로 존재함.
echo "# webtest" >> README.md git init git add README.md git commit -m "first commit" 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여기에아이디넣기/webtest.git git push -u origin master
push함으로써 리모터 repository에 넣음
메시지를 보자.
echo 명령어로 README.md에 내용을 넣음. 이건 매뉴얼 파일임. github 페이지 접근하면 이 파일의 내용이 보임
git init은 아까 해줘서 안해줘도 됨. 초기화임.
커밋은 말 그대로 커밋
remote add origin은 origin이라는 이름의 repository를 추가하라는 뜻. 로컬의 기본 repo는 master라면, remote의 기본 repo는 origin이다.
그럼 아까 만든 new_test를 origin(웹)에 push해보자.
git push -u origin new_test
리모트 이름과 함께 주소 보기
git remote -v
git remote add origin 어쩌고
git remote add test 어쩌고
이런 식으로 여러 개의 git remote를 추가할 수 있음.
삭제는
git remote rm test
리모트에 올리려면 add -> commit -> push 순으로 하면 됨
git add 12345
git commit remote_test -m "Test file for Remote Repo"
git push origin master
반대로 리모트에서 로컬로 가져오려면?
방법은 3가지
1) clone - 전체를 다 가져옴
2) pull - 가져와서 같은 branch를 합쳐버림
3) fetch - 변경 내용만 가져오고 안 합침
gitprac2 디렉토리에서 내 remote repository를 가져와 보자.
mkdir gitprac2
cd gitprac2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아이디/webtest.git
이러면 땡겨올 수가 있다!
졸려서 그만하고 자야지...
13분쯤.. fork & pull을 배울 차례
'형상관리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커맨드 라인에서 사용 방법(3) - branch (0) | 2016.12.14 |
---|---|
git 커맨드 라인에서 사용 방법(2) - log, checkout (0) | 2016.12.14 |
git 커맨드 라인에서 사용 방법(1) (0) | 2016.12.14 |
GitHub에 Local프로젝트를 업로드하기(eclipse plugin 사용) (0) | 2016.08.28 |
깃 시뮬레이터로 명령어 학습 (0) | 2016.08.12 |